맨위로가기

도쿄 타워 (2007년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 타워 ~엄마와 나, 가끔 아빠~는 릴리 프랭키의 소설을 원작으로, 2007년 1월 8일부터 3월 19일까지 후지 TV에서 방영된 드라마이다. 하야미 모코미치와 바이쇼 미츠코가 주연을 맡았으며, 첫 회 시청률은 14.2%로 저조했으나 마지막 회에서 18.1%를 기록했다. 미국에서도 케이블 TV를 통해 방송되었으며, 코부쿠로가 부른 주제가 '봉오리'는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를 차지하고 일본 레코드 대상 대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오카현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군사 간베에
    군사 간베에는 2014년 NHK 대하드라마로, 오카다 준이치가 주연을 맡아 구로다 간베에의 생애를 그렸으며, 임진왜란을 정면으로 다룬 최초의 대하드라마이다.
  • 후쿠오카현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우리 집의 역사
    《우리 집의 역사》는 쇼와 시대 격동기를 배경으로, 후쿠오카에서 도쿄로 상경한 야메 가 사람들의 파란만장한 삶을 막내아들 미노루의 시점에서 회상하는 드라마이다.
  • 후쿠오카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우리 집의 역사
    《우리 집의 역사》는 쇼와 시대 격동기를 배경으로, 후쿠오카에서 도쿄로 상경한 야메 가 사람들의 파란만장한 삶을 막내아들 미노루의 시점에서 회상하는 드라마이다.
  • 후쿠오카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오다기리 조의 도쿄 타워
    마츠오카 조지 감독 연출, 마츠오 스즈키 각본의 2007년 일본 영화 "오다기리 조의 도쿄 타워"는 오다기리 조, 키키 기린 주연으로 무책임한 아버지와 헌신적인 어머니 사이에서 삶을 재정비하는 마사야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며, 일본 아카데미상 5관왕 수상 및 키키 기린의 수상 소감 논란으로 주목받았다.
  • 도쿄도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오싱
    오싱은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까지 격동의 시대를 살아가는 한 여성의 삶을 그린 1983년 NHK 연속 TV 소설로, 가난한 어린 시절을 극복하고 성공하는 과정을 통해 인내와 끈기를 보여주며 전 세계적으로 큰 사랑을 받았다.
  • 도쿄도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내사랑 사쿠라코
    2000년 후지 TV에서 방영된 드라마 내사랑 사쿠라코는 돈을 숭배하는 객실 승무원이 의사로 신분을 속인 가난한 생선 가게 주인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인기를 끌어 다양한 파생 작품이 제작되었고 한국에서는 요조숙녀로 리메이크되었다.
도쿄 타워 (2007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드라마 '도쿄 타워 ~오칸과 보쿠, 때때로 오톤~' 포스터
드라마 '도쿄 타워 ~오칸과 보쿠, 때때로 오톤~' 포스터
원작릴리 프랭키
각본오오시마 사토미
연출쿠보타 테츠지, 타니무라 마사키
프로듀서나카노 토시유키
주연하야미 모코미치, 바이쇼 미츠코
국가일본
언어일본어
방송 정보
방송 채널후지 TV
MBC 드라마넷
방송 기간2007년 1월 8일 ~ 2007년 3월 19일
방송 횟수11회
방송 시간월요일 밤 9시 ~ 9시 54분
음성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화질HD 제작·방송
출연진
주요 출연진하야미 모코미치, 바이쇼 미츠코, 이즈미야 시게루, 카시이 유우
조연 출연진히라오카 유타, 에모토 타스쿠
음악
닫는 곡コブクロ / (쓰보미)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후지TV 《도쿄타워》공식 홈페이지

2. 원작

릴리 프랭키의 소설 『도쿄 타워 ~엄마와 나, 때때로 아빠~』 (2005년)[1]

3. 드라마 (2006년 단편)

2006년 11월 18일 후지 TV 계열 "토요 프리미엄"에서 다나카 유코, 오이즈미 요 주연으로 방송되었다.[1] 제작 과정에서 연출가 쿠제 미츠히코의 급서, 출연 배우의 불상사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1]

원작자 릴리 프랭키는 구제 미츠히코가 연출을 간절히 원했고, 작가가 구제 드라마의 팬이었기 때문에 드라마화를 위임했다.[1] 카녹스가 제작을, 후지 TV가 방송을 맡았다.[1] 오이즈미 요가 주연, 다나카 유코가 어머니 역할로 발탁되었다.[1]

그러나 2006년 3월 각본 완성 및 촬영 직전 구제가 급서하면서 제작 중단이 검토되기도 했으나, 스태프들은 그의 유지를 존중하여 제작을 속행했다.[1] 니시타니 히로시를 연출로 기용하고, "마지막 구제 작품"이라는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며 촬영을 진행했다.[1]

2006년 7월 29일 토요 프리미엄 시간대에 방송하기로 결정되었으나, 방송 직전인 7월 야마모토 케이이치가 폭행 사건을 일으켜 방송이 중지되었다.[1] 츠카지 무가를 대역으로 기용, 재촬영 및 편집을 거쳐 11월 18일 예술제 참가 작품으로 방송되었다.[1]

간토 지역 평균 시청률은 15.4%, 오이즈미 요의 출신지인 홋카이도 (홋카이도 분카 방송)에서는 27.9%를 기록했다.( 비디오 리서치 조사)[1]

3. 1. 개요 (2006년 단편)

2006년 11월 18일 후지 TV 계열 "토요 프리미엄"에서 다나카 유코, 오이즈미 요 주연으로 방송되었다.[1] 제작 과정에서 연출가 쿠제 미츠히코의 급서, 출연 배우의 불상사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1]

원작자 릴리 프랭키는 구제 미츠히코에게 드라마화를 위임했는데, 이는 구제 자신이 연출을 간절히 원했고, 작가가 구제 드라마의 팬이었기 때문이다.[1] 제작은 구제가 경영하는 카녹스가 맡았고, 방송국은 후지 TV로 결정되었다.[1] 구제는 오이즈미 요를 주연으로, 다나카 유코를 어머니 역할로 발탁했다.[1]

그러나 각본 완성 및 촬영 직전인 2006년 3월 구제가 급서하면서 제작 중단이 검토되기도 했으나, 스태프들은 그의 유지를 존중하여 제작을 속행했다.[1] 니시타니 히로시를 연출로 기용하고, "마지막 구제 작품"이라는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며 촬영을 진행, 2006년 7월 29일 토요 프리미엄 시간대에 방송하기로 결정되었다.[1]

하지만 방송 직전인 7월, 야마모토 케이이치가 폭행 사건을 일으켜 방송이 중지되었다.[1] 츠카지 무가를 대역으로 기용, 재촬영 및 편집을 거쳐 11월 18일 "토요 프리미엄"에서 예술제 참가 작품으로 방송되었다.[1]

간토 지역 평균 시청률은 15.4%, 오이즈미 요의 출신지인 홋카이도 (홋카이도 분카 방송)에서는 27.9%를 기록했다.( 비디오 리서치 조사)[1]

3. 2. 제작 과정 (2006년 단편)

구제 미츠히코는 자신이 연출하는 것을 간절히 원했고, 작가가 구제 드라마의 팬이었기 때문에 드라마화를 위임했다. 제작은 구제가 경영하는 카녹스가 맡았고, 방송국은 후지 TV로 결정되었다. 구제는 도쿄의 주요 방송국에서 주연 경험이 적었던 오이즈미 요를 주연으로 발탁했다. 다나카 유코를 어머니 역할로 기용하고, 카토 하루코, 고바야시 카오루, 키키 키린 등에게 연락하는 등 착실하게 준비를 진행했다.[1]

그러나 각본도 완성되고 크랭크인이 임박한 2006년 3월에 구제가 급서하면서, 제작 중단도 검토되었다. 하지만 남겨진 스태프들은 구제의 유지를 존중하는 형태로 제작 속행을 결정했다.[1]

연출에 후지 TV의 니시타니 히로시를 새롭게 기용하고, "마지막 구제 작품"이라는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며 촬영이 진행되었고, 2006년 7월 29일에 후지 TV 계열 토요 프리미엄 시간대에 방송하기로 결정되었다.[1]

그러나 방송 직전인 2006년 7월에 스기모토 하루오 역을 맡았던 야마모토 케이이치가 폭행 사건을 일으켜, 같은 날의 방송이 중지되었다. 스기모토는 이야기상 중요한 역할이었고, 그의 출연 장면만을 삭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때문에 대역으로 츠카지 무가를 기용하고, 스기모토의 출연 장면을 다시 촬영하여 재편집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우여곡절을 거쳐, 같은 해 11월 18일에 "토요 프리미엄" 시간대에 예술제 참가 작품으로 방송되었다.[1]

3. 3. 등장인물 (2006년 단편)


  • 나카가와(후지모토) 에이코("엄마") - 다나카 유코
  • 나카가와 마사야("나") - 오이즈미 요 (소년 시절: 가미키 류노스케)
  • 나리타 마사미 - 히로스에 료코
  • 후지모토 노리코 (엄마의 여동생) - 오쓰카 네네
  • 나카가와 코지("아빠") - 카니에 케이조

3. 4. 스태프 (2006년 단편)


  • 원작: 릴리 프랭키
  • 각본: 츠치다 히데오
  • 주제가: BEGIN 「도쿄」(오리지널 가창: 마이 페이스)
  • 연출: 쿠제 미츠히코, 니시타니 히로시(후지 TV)
  • 촬영: 츠다 토요시게, 오오이시 히로요시
  • 기술 협력: 바스크
  • 미술 협력: 액스
  • VFX: 시로구미
  • 스튜디오: 미도리야마 스튜디오 시티
  • 기획: 쿠제 미츠히코(카녹스), 와다 유키・코마츠 준야(후지 TV)
  • 프로듀서: 미우라 칸지, 미와 겐이치(카녹스)
  • 제작: 후지 TV, 카녹스

4. 드라마 (2007년 연속)

2007년 1월 8일부터 3월 19일까지 후지 TV 계열 "게츠쿠"로 방송되었다. 하야미 모코미치, 바이쇼 미츠코가 주연을 맡았다. 간토 지역 평균 시청률은 14.9%를 기록했다(비디오 리서치 조사).[5]

원작자 릴리 프랭키의 모교인 무사시노 미술대학에서 실제로 촬영이 이루어졌으며, 후쿠오카현 다가와, 고쿠라 등지에서도 로케이션 촬영을 진행하였다.[5] 드라마에서 주인공 '나'(나카가와 마사야)는 시각 디자인 학과를 졸업했지만, 원작자 릴리 프랭키는 공간 연출 디자인 학과를 졸업했다는 차이점이 있다.

각 화방송일부제시청률
제1화2007년 1월 8일엄마와 나 그리고 가끔 아빠 ~ 부모와 자식의 이별14.2%
제2화2007년 1월 15일눈물의 이별 후15.6%
제3화2007년 1월 22일할머니의 마지막14.9%
제4화2007년 1월 29일병의 선고16.0%
제5화2007년 2월 5일마지막 여행13.9%
제6화2007년 2월 12일엄마 상륙12.9%
제7화2007년 2월 19일엄마의 마음, 나는 몰라14.8%
제8화2007년 2월 26일가끔 아빠 ~ 가족의 유대14.4%
제9화2007년 3월 5일미래의 약속15.4%
제10화2007년 3월 12일마지막 선택14.2%
최종화2007년 3월 19일눈물의 마지막18.1%
평균 시청률 14.9% (시청률은 간토 지역 · 비디오 리서치사 조사)



첫회 시청률은 역대 게츠쿠 드라마 가운데 최저 시청률 2위인 14.2%(1989년 방송된 게츠쿠 드라마 《동·급·생》 이후, 19년 만에 처음으로 15% 붕괴)를 기록하며 저조한 출발을 보였지만, 최종회는 자체 최고 시청률인 18.1%를 기록했다.

4. 1. 개요 (2007년 연속)

2007년 1월 8일부터 3월 19일까지 후지 TV 계열 "월 9 드라마"로 방송되었다. 하야미 모코미치, 바이쇼 미츠코가 주연을 맡았다. 간토 지역 평균 시청률은 14.9%를 기록했다(비디오 리서치 조사). 첫회 시청률은 14.2%로 역대 게츠쿠 드라마 가운데 최저 시청률 2위를 기록했지만, 최종회는 자체 최고 시청률인 18.1%를 기록했다.

원작자 릴리 프랭키의 모교인 무사시노 미술대학에서 실제로 촬영이 이루어졌다. 드라마상에서 주인공 '나'(나카가와 마사야)는 시각 디자인 학과를 졸업했지만, 원작자 릴리 프랭키는 공간 연출 디자인 학과를 졸업했다는 차이점이 있다.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나카가와 마사야(보쿠)''' (배역: 하야미 모코미치, 소년기: 히로타 료헤이): 1970년 11월 4일 출생. 별명은 "마군". 무사시노 미술대학 조형학부 시각전달 디자인학과를 졸업했다.
  • '''나카가와 에이코(오칸)''' (배역: 바이쇼 미츠코): 마사야의 어머니. 구라테군 미야니시 마을(구 미야타정이 모델) 출생.
  • '''나카가와 조지(오톤)''' (배역: 이즈미야 시게루): 마사야의 아버지.
  • '''야마다 고헤이''' (배우: 에모토 타스쿠, 소년 시절: 코다마 마라쿠): 마사야의 1년 후배. 애칭은 '''바카본'''.
  • '''마에노 카즈오''' (배우: 야마자키 유타, 소년 시절: 마츠다 코다이): 지쿠호 시대의 마사야의 친구.

4. 2. 제작 과정 (2007년 연속)

원작자 릴리 프랭키의 모교인 무사시노 미술대학에서 실제로 촬영이 이루어졌다. 드라마에서 '나'(마사야)는 〈시각 디자인 학과〉를 졸업한 것으로 나오지만, 원작자인 릴리는 〈공간 연출 디자인 학과〉를 졸업했다. 후쿠오카현 다가와, 고쿠라 등지에서도 로케이션 촬영을 진행하였다.[5]

4. 3. 등장인물 (2007년 연속)

2007년 연속 드라마의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배역역할설명
하야미 모코미치
(유년 시절: 히로타 료헤이)
나카가와 마사야
(나, 18세~ )
외로움을 많이 타는 응석받이. 도쿄로 상경해 미대를 졸업했지만, 뚜렷한 인생 목표가 없다.
바이쇼 미츠코나카가와 에이코
(엄마, 40세~ )
아들에게 헌신하는 다정하고 밝은 어머니. 치쿠호 출신으로, 남편과 별거 후 홀로 아들을 키웠다.
이즈미야 시게루나카가와 쵸지
(아빠, 30세~ )
제멋대로인 성격.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며, 예술가 기질이 있다.
카시이 유우사사키 마나미
(나의 여자친구, 18세~ )
홋카이도 출신의 미대생. 마사야와 같은 대학 사진학과에 다닌다.
히라오카 유타나루사와 하지메
(18세~ )
도쿄 출신의 마사야의 미대 친구. 마나미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다.
에모토 타스쿠
(유년 시절: 코다마 마라쿠)
야마다 코헤이
(18세~ )
애칭은 바카본. 마사야를 잘 따르는 고등학교 후배.
타카오카 소스케토쿠모토 히로토
(20세~ )
오사카 출신의 마사야의 이웃. 난폭하지만, 에이코에게만은 마음을 연다.
천보린레오 리타이완 출신의 마사야의 이웃.
이시구로 켄
(특별 출연)
테즈카 슈이치로
(30세~ )
후쿠시마현 출신. 마사야에게 도쿄에서 사는 법을 가르쳐 주는 선배.
아사다 미요코후지모토 카나에에이코의 여동생. 에이코의 든든한 지원군이다.
아사카 마유미사사키 케이코마나미의 어머니.
야마자키 유타
(유년 시절: 마츠다 코우타)
마에노 카즈오마사야의 고등학교 동창.
사이토 요스케고토 요스케마사야의 고등학교 담임.
쿠보타 마키나카니시 야스코마사야의 아파트 주인.
후카우라 카나코카와무라 유카마사야에게 그림에 대해 격려해 준다.
야마다 아케사토에이코의 담당 의사.
아카기 하루에후지모토 하루
(엄마의 어머니)
에이코의 어머니.
사사키 스미에나카가와 후미코
(아빠의 어머니)
쵸지의 어머니.
호시노 겐사와다 타마오
오오하시 토모카즈롱 헤어 남자마사야의 미대 친구.
리리도쿠모토 요코히로토의 어머니.


4. 3. 1. 주요 인물


: 외로움을 많이 타는 응석받이. 고교 졸업 후 도쿄로 상경해 미대를 졸업했지만, 뚜렷한 인생 목표가 없다. 엄마에게 짐만 지우는 자신을 부끄러워하며, 연애에도 서툴다. 엄마가 아프다는 것을 알게 된 후, 자신의 삶과 가족에 대한 마음이 변하기 시작한다.
: 아들 마사야에게 헌신하는 다정하고 밝은 어머니. 치쿠호의 탄광촌 출신으로, 남편과 별거 후 홀로 아들을 키웠다. 요리를 통해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는 것을 좋아한다. 암이 발견된 후 상경한다.
: 제멋대로인 성격의 소유자.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며, 예술가 기질이 있다. 가족에게 애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모른다. 현재 코쿠라에서 수상한 장사를 하고 있다.
: 홋카이도 출신의 미대생. 마사야와 같은 대학 사진학과에 다니며, 후에 그의 여자친구가 된다. "도쿄 타워가 나의 시작"이라고 말하며, 꿈을 향해 적극적으로 나아간다. 마사야와는 달리 당차고 적극적이지만, 다소 고집스러운 면도 있다. 어머니와의 불화를 겪지만, 에이코와의 만남을 통해 변화한다.
: 도쿄 출신의 마사야의 미대 친구. 마나미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다. 미대 졸업 후 일류 기업에 취직하지만, 자신이 원하는 일이 아니라는 것에 갈등한다. 마사야에게 "나는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없어. 네가 부럽다"라고 고백한다. 에이코의 따뜻함에 감화되어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제7화에서는 과로로 쓰러진다.
: 애칭은 바카본. 마사야를 잘 따르는 고등학교 후배. 얄팍한 꿈을 안고 상경하지만 좌절을 반복한다. 에이코의 애정을 통해 자신의 길을 생각하게 된다.
: 오사카 출신의 마사야의 이웃. 난폭하지만, 에이코에게만은 마음을 연다. 에이코의 요리를 좋아하며, 남은 음식을 깨끗이 먹는다.

  • '''레오 리'''[9]

: 천보린

: 타이완 출신의 마사야의 이웃. 부드러운 외모로 여자를 잘 사귀지만, 연애에 서툰 마사야와는 대조적이다. 물장사를 하며 여자에게 의존하는 생활을 한다. 고향에 돌아갈 수 없는 아픔을 안고 있지만, 에이코를 만나 따뜻함을 느낀다.
: 후쿠시마현 출신. 마사야에게 도쿄에서 사는 법을 가르쳐 주는 가난한 선배. 프리랜서 작가로, 빈둥거리며 살지만, 후에 마사야의 일을 돕는다. 에이코를 만나면서 변화한다.

  • '''후지모토 카나에''': 아사다 미요코

: 에이코의 여동생. 독신이며, 에이코의 든든한 지원군이다. 마사야에게는 누나 같은 존재로, 아버지 역할을 대신해 쓴소리를 하기도 한다.

  • '''사사키 케이코''': 아사카 마유미

: 마나미의 어머니. 딸의 도쿄 상경을 반대하며, 귀향을 재촉한다. 홋카이도에서 여관을 경영한다.

  • '''마에노 카즈오''': 야마자키 유타(유년 시절: 마츠다 코우타)

: 마사야의 고등학교 동창. 마사야의 도쿄행을 부러워했다.
: 마사야의 고등학교 담임. 마사야의 지각 때문에 애를 먹는다.

  • '''나카니시 야스코''': 쿠보타 마키

: 마사야의 아파트 주인. 집세에 엄격하며, 마사야를 '마쿤'이라고 부른다.

  • '''카와무라 유카''': 후카우라 카나코

: 마사야에게 그림에 대해 격려해 준다.

  • '''야마다 아케사토''': 에이코의 담당 의사.
  • '''후지모토 하루'''(엄마의 어머니): 아카기 하루에

: 에이코의 어머니. 마사야를 위해 10엔짜리 동전을 모았다.
: 쵸지의 어머니. 마사야를 예뻐했지만, 에이코에게 돌려보낸다.

  • '''사와다 타마오''': 호시노 겐
  • '''롱 헤어 남자''': 오오하시 토모카즈

: 마사야의 미대 친구. 졸업 후 사와다는 아버지 회사, 롱 헤어 남자는 대리점에 취직.

  • '''도쿠모토 요코''': 리리

: 히로토의 어머니. 아들과 소원해졌다.

4. 3. 2. '나'의 주변 인물


佐々木 まなみ|사사키 마나미일본어

: 홋카이도 출신으로, 나(마사야)의 여자친구가 되는 같은 미대 사진학과 학생이다. 미대 수험일, 마나미는 홋카이도에서, 마사야는 규슈에서 상경해 두 사람은 도쿄행 버스에서 운명적으로 만났다. “여기(도쿄 타워)가 나의 시작이야. 여기부터 내가 시작해.”라고 나(마사야)에게 말한다.[9] 자기 마음대로인 마사야와는 계속해서 어긋나기만 하지만, 어느 샌가 엄마(에이코)의 지지를 받아 연인 사이로 발전한다. 당당한 분위기를 지닌 여자아이로, 성실하고 적극적이며 바지런하지만, 다소 고집쟁이다. 홋카이도에 있는 어머니와의 사이에 큰 불화가 있었는데, 엄마(에이코)와 나와 엄마의 모자관계를 접하면서 변화한다. 카메라맨이 꿈이며, 졸업 후에는 "주식회사 업링 포토"에 취직한다.[9]
鳴沢 一|나루사와 하지메일본어

: 도쿄 출신으로 나(마사야)의 미대 친구이자 마나미에게 호의를 품고 있는 라이벌이다. 어른이 되었어도 항상 생활이 안정치 않은 나와는 대조적으로, 미술로 생계를 꾸릴 것을 일찌감치 포기하고 졸업 후에는 일류 기업에 취직한다. 다른 사람들은 잡지 편집자라고 생각하지만 거짓말이다. 실제로 출판사에서 잡지 편집을 하는 건 사실이지만, 본인이 하고 싶어 하는 일이 아니다. 그래서 나(마사야)에게 “나는 무엇 하나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없어. 너(마사야)가 부러워.”라고 고백한다. 엄마(에이코)의 곰상스럽지 않은 자상함을 접하며 빈틈없이 곤두세우고 있었던 마음의 긴장을 풀고 자신을 새로이 다시 바라봐 간다. 제7화에서는 과로로 쓰러진다.
山田 耕平|야마다 고헤이일본어

: 애칭은 바카본(일본 만화 캐릭터). 나(마사야)를 잘 따르는 고등학교 후배. 나도 착실하지 않지만, 그런 면에서는 나보다 한 술 더 뜬다. 항상 나를 곤란하게 하고 기가 막히게 하며 궁지로 몰고 가는 트러블 메이커. 몇 번이나 얄팍한 꿈을 안고 상경하지만, 좌절을 맛보고 규슈로의 귀향을 되풀이한다. 하지만 이런 바카본이지만 엄마(에이코)의 애정을 접하고 자신이 가야 할 곳을 생각하게 된다.
徳本 寛人|도쿠모토 히로토일본어

: 오사카 출신으로 나(마사야)의 이웃. 금방 울컥하는 난폭한 인물로 주먹으로 밖에는 자신의 마음을 전달할 수 없는 요령 없는 남자. 가족 중에서도 혼자만 다르며 결국 사고를 내고 고향에 있을 수 없게 되어, 고등학교 시절 엄마를 때리고 도쿄로 도망 왔다. 이런 토쿠모토가 유일하게 솔직히 마음을 열게 된 엄마(에이코). 엄마의 요리에서 남은 건 전부 토쿠모토가 깨끗이 먹어 치우게 된다.[9] 자동차 정비사로 일하며, 극중에서는 1996년경에 근속 10년차를 맞이한다.[9]
陳柏霖|천바이린|Leo Lee중국어

: 타이완 출신으로 나(마사야)의 이웃.[9] 부드러운 마스크로 여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데 능통해 연애에 서툰 나와는 대조적이다. 어느 의미에서는 나의 동경의 대상. 일은 물장사로 생활은 여자 중심인 빈대 인생. 가부키초의 카바레식 클럽에서 제비로 일하고 있다. 실은 어떤 사정으로 고향에 돌아갈 수 없는 아픔을 안고 있다. 이런 레오가 도쿄에서 처음으로 따뜻한 이를 만나는데, 그게 바로 엄마(에이코)이다. 8년 정도 고향에 돌아가지 않았지만, 테즈카에 따르면 대만 집에 꾸준히 돈을 부치고 있다고 한다.[7]

4. 3. 3. 그 외 인물


  • '''테즈카 슈이치로''' (30세~ ): 이시구로 켄(특별 출연)이 연기한다. 후쿠시마현 출신으로, 도쿄에서 나(마사야)에게 형 같은 존재이다. 때로는 나를 궁지에 빠뜨리기도 하고, 때로는 격려하며 도쿄에서 사는 법을 가르쳐 준 가난뱅이 선배이다. 대학 결석을 일삼고 야무지지 못한 나에게 “너는 이 도쿄의 쓰레기조차도 될 수 없을 것”[9]이라며 자각하게 한다. 빈둥거리며 사는 프리랜서 작가이지만, 훗날 나의 일을 돕게 된다. 서른 살이 넘도록 안정된 것 하나 없는 인생이었으나 엄마(에이코)를 만나면서 변화한다.
  • '''후지모토 카나에''': 아사다 미요코가 연기한다. 엄마(에이코)의 여동생으로 독신이다. 엄마의 가게 일을 돕거나, 함께 여행을 가거나, 화투를 치는 등 엄마가 의논할 수 있는 존재이다. 외갓집 특유의 밝은 천성으로 슬픔을 웃음으로 바꾸는 사람이며, 나(마사야)에게는 신뢰할 수 있는 누나 같은 존재이다. 나, 엄마, 아빠를 모두 이해하며, 아버지 대신 쓴소리나 설교를 하는 유일한 사람이다.
  • '''사사키 케이코''': 아사카 마유미가 연기한다. 마나미의 어머니로, 딸의 도쿄 상경을 여전히 반대하며 “널 주위 사람에게 말하는 게 부끄럽구나”, “언제 돌아오는 거니?” 등의 말을 하며 귀향을 재촉한다. 홋카이도에서 여관을 경영한다.
  • '''마에노 카즈오''': 야마자키 유타(유년 시절: 마츠다 코우타)가 연기한다. 마사야의 고등학교 동급생으로, 좋든 나쁘든 늘 마사야와 함께한다. 마사야의 도쿄행을 부러워했다.
  • '''후지모토 하루'''(엄마의 어머니): 아카기 하루에가 연기한다. 에이코의 어머니로, 후미코와는 대조적으로 말수가 적고 감정을 겉으로 잘 드러내지 않는 차분한 성격이다. 하지만 마사야를 위해 죽기 전까지 10엔짜리 동전을 모아 주었으며, 이는 마사야가 마음을 고쳐먹는 계기가 된다.
  • '''나카가와 후미코'''(아빠의 어머니): 사사키 스미에가 연기한다. 쵸지의 어머니로, 마사야를 예뻐했지만, 마사야가 “역시 에이코만큼 돌볼 순 없네”라고 말하자 며느리인 에이코에게 돌려보낸다.

4. 4. 스태프 (2007년 연속)

4. 5. 부제 및 시청률 (2007년 연속)

각 화방송일부제시청률
제1화2007년 1월 8일엄마와 나 그리고 가끔 아빠 ~ 부모와 자식의 이별14.2%
제2화2007년 1월 15일눈물의 이별 후15.6%
제3화2007년 1월 22일할머니의 마지막14.9%
제4화2007년 1월 29일병의 선고16.0%
제5화2007년 2월 5일마지막 여행13.9%
제6화2007년 2월 12일엄마 상륙12.9%
제7화2007년 2월 19일엄마의 마음, 나는 몰라14.8%
제8화2007년 2월 26일가끔 아빠 ~ 가족의 유대14.4%
제9화2007년 3월 5일미래의 약속15.4%
제10화2007년 3월 12일마지막 선택14.2%
최종화2007년 3월 19일눈물의 마지막18.1%
평균 시청률 14.9% (시청률은 간토 지역 · 비디오 리서치사 조사)



첫회 시청률은 역대 게츠쿠 드라마 가운데 최저 시청률 2위로 14.2%(1989년 방송된 게츠쿠 드라마 《동·급·생》이후, 19년 만에 처음으로 15% 붕괴)를 기록하였다. 저조한 출발을 보였지만, 최종회는 자체 최고 시청률인 18.1%를 기록했다.

5. 주제가 및 OST


  • 코부쿠로 - 蕾|쓰보미|봉오리일본어
  • * 코부쿠로가 이 드라마의 주제가 제작을 위해 원작을 읽고 쓴 곡으로, 드라마 종료 후 발매되었다.
  • * 하야미 모코미치가 주연한 드라마 중 코부쿠로의 곡이 주제가로 사용된 것은 《레가타 ~그대와 있던 영원~》에 이어 두 번째이다.
  • * 바이쇼 미츠코가 출연한 드라마 중 코부쿠로의 곡이 주제가로 사용된 것은 《루리의 섬》에 이어 두 번째이다.
  • * 코부쿠로 싱글 최고 판매량인 45만 장을 기록했으며, 처음으로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를 차지한 작품이다. 2007년 제49회 일본 레코드 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제58회 NHK 홍백가합전에 출전했다. 2008년 고등학교 야구 선발 대회의 행진곡으로도 사용되었다.
  • 도쿄 타워: 엄마와 나, 가끔, 아버지 (2007년 3월 7일, 워너 뮤직 재팬, WPCL-10397)

번호곡명
1motherhood~me & my mon~
2everlasting love
3Tang
4Sometimes O・T・O・N
5classic or rock
6Dear My Home Town
7passive days
8troublemaker
9Boo-Boo-Booing
10Yah-Guitar Man
11loosing the word
12sophiticated love
13Theatre of Okan & Oton
14Tang
15cry
16sophiticated love
17Dear My Home Town
18Mother Mother
19motherhood~me & my mon~
20蕾(つぼみ)


참조

[1] 웹사이트 AMUSE https://web.archive.[...] アミューズ 2021-07-04
[2] 문서 初回は15分拡大(21:00 - 22:09)。
[3] 문서 「視覚伝達デザイン学科」そのものは実在する。
[4] 웹사이트 ドラマ東京タワーの謎 http://www.musabi.co[...] 2007-01-24
[5] 문서 第4話
[6] 문서 第1話
[7] 문서 第2話
[8] 문서 第8話
[9] 문서 第7話・名前入りの箸よ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